|
|
|
|
이번 주, 어떤 코인이 눈에 띄는지 알아볼까요?
주간 시장 요약
기준시간: 2024-09-20 09:00
|
|
|
|
|
|
상승률이 가장 높은
|
|
|
|
카데나
KDA
|
966.3
+51.67%
|
|
|
|
|
|
수이
SUI
|
1,840
+46.26%
|
|
|
|
|
|
알트레이어
ALT
|
153.3
+46.0%
|
|
|
|
거래량이 눈에 띄는
|
|
|
|
솔라나
SOL
|
190,300
+6.37%
|
|
|
|
|
|
월드코인
WLD
|
2,132
+13.53%
|
|
|
|
|
|
수이
SUI
|
1,840
+46.26%
|
|
|
|
상승률이 눈에 띄는
|
|
|
|
셀레스티아
TIA
|
7,895
+41.87%
|
|
|
|
|
|
룩스레어
LOOKS
|
58.66
+38.32%
|
|
|
|
|
|
인덱스코퍼레티브
INDEX
|
5,985
+38.0%
|
|
|
|
|
|
|
|
|
|
가상자산 시세 보러가기
|
|
|
|
|
|
|
|
|
|
|
|
|
이번 주엔 어떤 일이?
주간 동향
|
|
|
|
|
|
모두가 서로의 눈치를 본다
|
|
출처: Coinmarketcap
가격 움직임을 예측하기도, 분석하기도 어려운 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시간 19일 03시, 연준이 기준금리를 50 bps 인하하는 소위 ‘빅컷’ 을 발표했습니다. 수 개월 전부터 시장이 기다리던 금리 인하였지만 발표 직후 비트코인 가격은 반짝 상승 후 다시 주저앉았습니다. 19일 아침부터 상승세를 시작해 20일 오전에 $63k를 회복했지만, 19일부터 20일까지 가격에 영향을 줄 만한 뚜렷한 호재는 없었습니다.
빅컷이 선반영 되어 있었다, 빅컷 발표 후 ‘뉴스에 판다(sell the news)’가 일어났다 등의 사후적 분석도 이러한 가격 움직임을 적절하게 나타내지는 못합니다. 현재 장세는 투자자들이 서로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전대미문의 투자환경 2024년 9월은 대부분의 투자자들에게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투자환경이기 때문에 모두 우왕좌왕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로 전 세계가 3년 이상 셧다운 되고 유동성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으며, 이를 수습하기 위해 닷컴버블 붕괴와 2008년 금융위기 직전 수준의 고금리를 1년 이상 유지한 후, 4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 인하가 일어난 상황입니다. 이번 ‘빅컷’도 유동성 증가의 시작이므로 호재라고 봐야 하는지, 실제 경기침체 우려가 심각해서 연준이 선제적 대응을 하는 것이기에 악재라고 봐야 하는지 여러 해석이 엇갈립니다. 여기에 더해 중국의 경기침체 우려 또한 언급되고 있습니다.
|
|
|
출처: St. Louis Fed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의 경우, 2022년 테라루나 사태에서 FTX 파산까지의 여러 악재, 그리고 2023년 중반 SEC의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 고소, 2024년 현재 진행 중인 SEC의 크립토 VC 줄소환 등 으로 인해 크립토 트레이더들, 특히 트레이딩 펌들의 거래활동은 매우 위축된 상황으로 보입니다.
비트코인은 연초에 ETF가 승인되고 증시 자금이 유입되며 작년까지의 시장 역학과 전혀 다른 환경이 펼쳐져 있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 가격이 최고점을 경신한 3월 이후, 2분기와 3분기 내내 ETF 거래량은 정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
|
|
|
|
출처: TheBlock
“Crypto President”를 표방하는 트럼프의 지지율이나 당선예측도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10일에 있었던 토론회에서도 트럼프는 해리스를 상대로 졸전을 펼쳤고, 현지시간 15일에는 트럼프를 노린 두 번째 총격 사건이 발생했지만 대중의 반응은 미미합니다. 해리스 측도 더이상 크립토 진영에 대해 화해 제스처를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두 후보 모두 토론회나 공약집에서 크립토를 언급하지 않은 점도 눈에 띕니다.
|
|
|
출처: Polymarket
4분기에는 불장이 올까 이렇듯 현재 시장에는 이미 예상 가능한 추가 금리 인하 외에는 가격을 견인할 뚜렷한 동력도, 공포를 불러 일으킬 악재도 없는 상태입니다. 다만, 올해에는 특별한 변수가 있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와 미국 대선이 겹치는 네 번째 해라는 점입니다.
2012년, 2016년, 2020년 세 해 모두 비트코인 가격은 4분기에 유의미한 상승을 보여 주었으며, 그 다음 해에 크게 상승하여 전고점을 갱신했습니다. 학습 효과로 인해 시장이 4분기의 상승폭을 미리 선반영했을 수도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4년 만에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라 4분기 상승 예측은 아직 유효한 것으로 보입니다.
|
|
|
출처: 한경
가상자산 ‘매수 대기 자금’이라고 볼 수도 있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여러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4분기 상승장을 예측한 여러 층위의 투자자들이 시장의 눈치를 보며 매수 타이밍을 재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재의 혼란스러운 가격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추측합니다.
|
|
|
|
|
|
출처: TheBlock
코빗 리서치센터 김민승
|
|
|
|
|
|
|
|
|
|
|
|
|
|
이번 주 핫한 가상자산 소식을 알아볼까요?
가상자산 뉴스
|
|
|
|
|
|
|
|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코빗 리서치
|
|
|
|
|
|
|
|
2024 매일경제 컨퍼런스 시리즈 1: 가상자산의 제도권화와 향후 과제
|
|
2024년은 가상자산 산업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요한 해다. 이 변화에 부응하여 매일경제신문과 Mblock은 '2024 매일경제 가상자산 컨퍼런스'를 2024년 9월 5일에 개최하였다. 이번 컨퍼런스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언’을 주제로, 지난 1년간의 변화와 도전 과제를 되짚어보고 가상자산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이에 당사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컨퍼런스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시리즈로 발간하여 핵심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첫 번째 시리즈에서는 정석문 프레스토 리서치센터장이자 코빗 리서치센터 고문이 전한 주제 발표의 주요 포인트를 요약하고 이에 대한 당사의 의견을 공유한다. 발표의 제목은 ‘글로벌 가상자산 산업 주요 동향'으로 가상자산의 제도권화와 한국이 풀어야 할 과제에 대한 폭넓은 분석과 전망을 담고 있다.
|
2024-09-13 / 코빗리서치 104회
|
|
|
|
|
|
|
코빗 리서치 자세히 보러가기
|
|
|
|
|
|
|
|
|
|
|
|
|
새로운 컨텐츠가 업로드 되었어요.
코빗 유튜브
|
|
|
|
|
|
|
|
|
|
|
|
|
|
이번주 코빗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코빗 뉴스레터 의견
이번주 코빗 뉴스레터에 대해 어땠는지 아래 버튼을 눌러 의견을 남겨주세요!
뉴스레터 의견 남기러 가기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