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7 vol. 327
Korbit Letter 한 주간의 새로운 정보를 한 눈에!

이번 주, 어떤 코인이 눈에 띄는지 알아볼까요?

주간 시장 요약

기준시간: 2025-06-27 09:00

상승률이 가장 높은

sei  

세이

SEI

351.7

+40.68%

move  

무브먼트

MOVE

255.7

+39.57%

hvh  

하바

HVH

2.115

+28.18%

거래량이 눈에 띄는

sol  

솔라나

SOL

190,800

-5.92%

doge  

도지코인

DOGE

219.9

-6.9%

aergo  

아르고

AERGO

170.5

+23.28%

상승률이 눈에 띄는

rly  

랠리

RLY

1.865

+23.51%

aergo  

아르고

AERGO

170.5

+23.28%

syrup  

시럽

SYRUP

775

+22.84%

가상자산 시세 보러가기

이번 주엔 어떤 일이?

주간 동향

‘스텔스 양적완화’, Bull Cycle 시작될까

비트코인 가격은 이란과 이스라엘의 휴전이 발표된 24일을 기점으로 상승하기 시작해 현재 $107k 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휴전 발표 이후에도 무력 충돌이 있었지만, 시장은 불안감이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승에 베팅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주요 증시 지수도 비트코인과 매우 유사한 상승폭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간동향 이미지

출처: Coingecko(한 주간 BTC 가격 추이)





주간동향 이미지

출처: Tradingview(한 주간 BTC, QQQ, SPY, DJI 가격 추이)


상승세에 영향을 준 것은 휴전 발표만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시간 25일 새벽, 연준이 발표한 SLR(보완 레버리지 비율) 규제 완화 제안이 시장에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은행 규제 완화를 넘어서, 사실상 양적완화의 성격을 띠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연준의 SLR 규제 완화는 대형 은행들이 미국 국채 매입 시 자본 요구사항을 대폭 낮춰주는 조치입니다. 표면적으로는 "국채 시장 거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금리 인하 없이도 금융 시스템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는 국채 뿐 아니라 위험자산에 대한 수요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규제 완화안에 반대표를 던진 Michael Barr 이사는 "은행들은 국채 중개량을 의미 있게 증가시키기보다는 주주들에게 자본을 배분하거나 가장 높은 수익 활동에 활용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SLR 완화 발표 이후 비트코인은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6월 26일 한때 $108k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규제 완화로 예상되는 자기자본비율 요건 감소 규모는 상당합니다. 로이터에 따르면, 대형 은행의 예금 기관 자회사들은 평균 27% 감소(약 2,130억 달러), 글로벌 은행 지주회사들은 1.4%의 감소(약 130억 달러)를 경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 가지 더 주목할 만한 것은 백악관 관계자가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 축적 계획(accumulation plan)을 가지고 있다"고 발언한 것입니다. 6월 26일 이루어진 이 발언은 그동안 추측에 머물렀던 비트코인 전략자산(SBR) 정책이 구체화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미 3월 6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을 통해 ’비트코인 전략자산(SBR) 설립’이 공식화된 바 있습니다. 이 행정명령은 많은 기대를 일으켰지만, 미국 연방정부가 언제, 어떻게, 어느 예산으로, 얼마나 비트코인을 매수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백악관 디지털자산 위원회의 Deputy Director인 Patrick Witt의 ‘비트코인 축적 계획’ 언급은 계획이 현재 만들어져 있으며 발표만 남았다고 해석될 수도 있어, 시장에 기대감을 불러 일으킨 것으로 보입니다. 


6월 25일, 연방주택금융청(FHFA) 국장 William J. Pulte가 비트코인과 기타 승인된 가상자산을 모기지 자산으로 인정하겠다고 발표한 것도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그는 "미국을 ‘crypto capital’로 만들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비전에 따라, 패니메이(Fannie Mae)와 프레디맥(Freddie Mac)이 가상자산을 모기지 자산으로 계산하도록 지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가상자산이 현금, 주식, 채권과 동등한 수준의 자산으로 인정받게 됨을 의미합니다.


지금까지 비트코인 가격은 여러 악재에 시달려왔습니다. 1-2분기에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 6월에는 미국-이스라엘-이란 전쟁이 격화되면서 비트코인은 상당한 하락압력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현재 상황을 종합해보면, 아직 연준의 금리 인하는 시작되지 않았지만 SLR 완화를 통한 ‘스텔스 양적완화’가 이미 시작되었고, 미국 연방정부의 비트코인 전략자산 기대감도 다시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준도 올 가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 유동성 환경 개선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이더리움 ETF 스테이킹 제안도 SEC 검토를 받고 있으며, XRP, SOL 등 주요 알트코인들의 현물 ETF 승인 확률이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도 최근 법안 통과와 함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되면 관세 전쟁과 중동 분쟁 등으로 인해 억눌려 있던 ‘bull cycle’이 도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다만, 중동 전쟁 초기와 마찬가지로 전망이 희망적일 때 예상치 못한 거시경제 이벤트가 발생할 가능성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최근 자산시장이 거시경제 변수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 인플레이션 데이터나 고용지표 등이 예상과 다를 경우 급격한 변동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정책적 호재들을 주시하되, 동시에 충분한 리스크 관리를 통해 예상치 못한 변동성에 대비해야 합니다. 



코빗 리서치센터 김민승

이번 주 핫한 가상자산 소식을 알아볼까요?

가상자산 뉴스

코빗 소식 / 가상자산 뉴스

코빗 리서치센터 '금융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제언' 보고서 발간

아시아경제

해외 소식 / 가상자산 뉴스

美에 뒤처질라…中관영지 "위안화 스테이블코인 적극 추진해야"

연합뉴스

국내 소식 / 규제

한국은행의 스테이블코인 위험성 경고...①코인런 ②금융사고 ③자본유출 ④통화정책 유효성 저해 4대 리스크 우려

조선일보

국내 소식 / 규제

힘 빠진 한은 CBDC vs 힘 세진 스테이블코인…은행권 '난감'

뉴스1

국내 소식 / 가상자산 뉴스

[단독 인터뷰] 민병덕 "131조 유출 막자…韓 디지털자산 기축통화국으로"

한국경제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코빗 리서치

코빗 리서치 이미지

금융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제언

6월 발의된 디지털자산 기본법은 가상자산의 발행, 유통, 보관 등 전 주기를 포괄하는 통합 법제를 제시하며 제도 정비의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본 법안은 기본 방향만을 제시한 초기 단계인 만큼, 구체적인 실행 체계나 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세부 설계는 향후 국회 논의와 하위 법령 정비 과정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본 보고서는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중심으로 새롭게 형성되는 제도 환경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고, 국내 가상자산 산업의 인프라 기반 확장을 위한 세 가지 정책 개선 방향을 제언한다. 각 제언은 해외 주요국의 사례를 기반으로 도출되었으며, 새 행정부가 중립적이고 실용적인 시각에서 채택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함께 제시한다.

2025-06-20 / 코빗리서치 126회

코빗 리서치 자세히 보러가기

이번주 코빗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코빗 뉴스레터 의견

이번주 코빗 뉴스레터에 대해 어땠는지 아래 버튼을 눌러 의견을 남겨주세요!

뉴스레터 의견 남기러 가기
코빗에 합류할 인재를 기다리고 있어요. WE ARE HIRING!
Korbit
매주 새로운 정보와 소식으로 찾아오는
코빗 뉴스레터를 기대해 주세요!

코빗이 발행하는 리서치/뉴스레터를 통해 제공되는
자료는 무단복제하거나 영리 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으며
당사 허가 없이 내용을 임의로 수정하는 경우에는
발행물 인용이 불가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Korb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