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vol. 331
Korbit Letter 한 주간의 새로운 정보를 한 눈에!

이번 주, 어떤 코인이 눈에 띄는지 알아볼까요?

주간 시장 요약

기준시간: 2025-08-01 09:00

상승률이 가장 높은

omni  

옴니네트워크

OMNI

6,270

+87.16%

rsc  

리서치코인

RSC

759

+68.63%

looks  

룩스레어

LOOKS

25

+42.29%

거래량이 눈에 띄는

sol  

솔라나

SOL

240,200

-6.97%

doge  

도지코인

DOGE

292.7

-10.93%

pengu  

펏지펭귄

PENGU

47.22

-19.56%

상승률이 눈에 띄는

oas  

오아시스

OAS

21.41

+23.4%

rari  

라리블

RARI

1,635

+23.12%

npt  

네오핀

NPT

91.77

+17.56%

가상자산 시세 보러가기

이번 주엔 어떤 일이?

주간 동향

스테이블코인 다음은 토크나이제이션과 디파이

한 주간 비트코인 가격은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한국 시간 기준 7월 26일 새벽, 비트코인은 119,000달러대에서 115,000달러대로 급락했습니다. 이 하락은 이른바 ‘사토시 시대’의 대규모 비트코인 보유자가 약 8만 BTC를 매도하면서 선물 시장의 롱포지션이 대량 청산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해당 거래를 중개한 갤럭시 디지털은 이를 디지털 자산 시장의 대표적인 대규모 엑시트 사례라고 평가하였습니다.


이후 비트코인은 29일까지 119,000달러대를 회복했으나, 31일 새벽 다시 117,000달러 이하로 하락하였습니다. 이날 백악관에서 발표한 크립토 리포트에 비트코인 전략자산(SBR) 매수 계획 관련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고, 파월 연준 의장이 FOMC 기자회견에서 매파적인 발언을 한 것이 하락의 배경으로 분석됩니다. 


다시 회복세를 보이던 비트코인은 8월 1일 새벽 다시 116,000달러 이하로 하락했는데, 01시경 발표된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며 금리 인하 기대감에 악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주간동향 이미지

출처: Coingecko(한 주간 비트코인 가격 추이)


이더리움은 6월 말부터 7월 28일까지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더리움 상승세의 배경에는 스테이블코인 산업의 확장과 스테이킹 ETF 승인에 대한 기대감, 그리고 이더리움 트레저리 전략 기업들의 매수세와 ETF를 통한 기관 자금의 지속적인 유입이 주요 요인으로 꼽힙니다. K33 리서치는 투기성 자금이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


다만 28일 이후로는 횡보하다가 1일 새벽부터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더리움 자체의 펀더멘털 문제라기보다는 FOMC 기자회견(우리시간 31일 새벽), 미국 PCE 발표(1일 새벽) 등 금리 인하 관련 악재 등이 가격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주간동향 이미지

출처: Coingecko(한 주간 이더리움 가격 추이)



주간동향 이미지

출처: TheBlock(상장사가 보유한 이더리움 추이)



미국 시간 30일, 백악관에서는 ‘STRENGTHENING AMERICAN LEADERSHIP IN DIGITAL FINANCIAL TECHNOLOGY’라는 제목의 166페이지 분량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이 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1월 23일에 발효된 같은 이름의 행정명령에 따라 작성된 것입니다. 기대를 모은 비트코인 전략자산(BTC 전략비축) 매수계획의 구체적 내용은 담지 않았으나, 바이든 행정부 시절 가상자산 업계가 겪었던 많은 어려움에 대한 대안과 트럼프 정부의 미래 전략을 상세하게 제공합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디지털 자산 및 블록체인 기술이 미국의 금융혁신과 경제 성장, 글로벌 리더십에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기술 혁신을 억제하는 기존 규제 대신 명확하고 기술 중립적인 정책을 추진할 것임을 밝혔으며, 모든 금융기관과 시민이 평등하게 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로써 오랜 기간 가상자산 업계를 억압해온 ‘디뱅킹’ 규제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해석되고 있습니다.


또한, 누구나 합법적으로 공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소프트웨어 개발, 마이닝과 밸리데이션, 자기수탁 등 활동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바이든 정부 시절 SEC의 무분별한 증권성 소송 등 산업 탄압에 대한 제도 개선을 시사하는 내용입니다.


그 밖에도,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개발 및 유통, 사용을 전면 금지하며 스테이블코인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도 유지됐습니다.


미국 시간 31일 SEC 웹사이트에는 폴 앳킨스 위원장의 ‘American Leadership in the Digital Finance Revolution’라는 제목의 연설문이 공개되었습니다. 그는 연설에서 혁신 친화적 규제 전환, ‘집행을 통한 규제’에서 탈피한 새로운 규칙 기반(rule-based)의 접근으로의 변화를 선언했습니다. 


또한 SEC는 이 글에서 미국 시장을 ‘오프체인’ 환경에서 ‘온체인’ 환경으로 옮기는 잠재력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를 통해 미국이 글로벌 디지털 자산 및 블록체인 금융의 표준을 만들어나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입니다.


디파이와 토크나이제이션을 명시적으로 강조한 이 부분은 백악관 보고서의 방향성과도 일치합니다. 백악관 보고서에서는 ‘투자자들이 자기수탁(self-custody)을 선택하고 지원할 수 있는 옵션을 수용하며 적극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들은 미국을 글로벌 암호화폐 경제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혁신과 보안을 균형 있게 맞춘 규제 프레임워크 개발을 장려하는 것은 튼튼한 금융 미래를 여는 길이 될 것이다. 디파이의 주류 금융 통합은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고 다양한 산업 및 분야 전반에 걸쳐 중요한 발전을 이끌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라는 언급을 통해 제도권 금융의 온체인화(토크나이제이션)과 디파이 생태계의 발전을 촉진할 계획임을 천명했습니다.


2024년 7월 내쉬빌 연설부터 취임 후 행정명령, 이번에 공개된 백악관 보고서까지 트럼프 행정부의 ‘크립토 드라이브’는 빠르고 강력하게 일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SEC도 백악관의 방향성에 맞춰 제도를 개선하고 산업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달리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법안이 시행되자마자 트럼프 행정부는 토크나이제이션과 디파이 활성화를 언급하기 시작했습니다.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이 ‘모든 주식, 모든 채권, 모든 펀드 - 모든 자산 - 은 토큰화될 수 있다(Every stock, every bond, every fund—every asset—can be tokenized)’라고 올해 주주서한에서 강조한 것도 의미심장합니다. 



코빗 리서치센터 김민승

이번 주 핫한 가상자산 소식을 알아볼까요?

가상자산 뉴스

해외 소식 / 가상자산 뉴스

스테이블코인으로 시작된 '달러 침공'…다음 전장은? [한경 코알라]

한국경제

해외 소식 / 가상자산 뉴스

삼성페이로 가상자산 산다…미국 '코인베이스' 시범 도입

연합뉴스

국내 소식 / 규제

국회서 불붙은 스테이블코인 '입법경쟁'…"정부, 제도화 '키맨' 역할해야"

뉴스1

코빗 소식 / 가상자산 뉴스

코빗, USDC 아비트럼 입출금 지원..서클과 첫 협력 사례

한국정경신문

코빗 소식 / 가상자산 뉴스

코인런, 자금세탁 악용, 자본 국외 유출? 우리가 안 하면 해외에서 만들어 선점할 것

KDI 경제교육 정보센터

새로운 컨텐츠가 업로드 되었어요.

코빗 유튜브

코빗 유투브

가상자산 2.0 시대 시작합니다ㅣ코빗 인사이트

2025-07-29 / 코빗 인사이트

코빗 유튜브 구독하러 가기

이번주 코빗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코빗 뉴스레터 의견

이번주 코빗 뉴스레터에 대해 어땠는지 아래 버튼을 눌러 의견을 남겨주세요!

뉴스레터 의견 남기러 가기
코빗에 합류할 인재를 기다리고 있어요. WE ARE HIRING!
Korbit
매주 새로운 정보와 소식으로 찾아오는
코빗 뉴스레터를 기대해 주세요!

코빗이 발행하는 리서치/뉴스레터를 통해 제공되는
자료는 무단복제하거나 영리 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으며
당사 허가 없이 내용을 임의로 수정하는 경우에는
발행물 인용이 불가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Korb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