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vol. 275
Korbit Letter 한 주간의 새로운 정보를 한 눈에!

이번 주, 어떤 코인이 눈에 띄는지 알아볼까요?

주간 시장 요약

기준시간: 2024-04-26 09:00

상승률이 가장 높은

bonk  

봉크

BONK

0.0387

+85.17%

pepe  

페페

PEPE

0.0112

+49.33%

ar  

알위브

AR

52,950

+48.86%

거래량이 눈에 띄는

usdt  

테더

USDT

1,435

-3.5%

mbx  

마브렉스

MBX

1,153

-0.95%

wemix  

위믹스

WEMIX

2,498

+16.95%

상승률이 눈에 띄는

hbar  

헤데라

HBAR

172.6

+46.27%

ksp  

클레이스왑프로토콜

KSP

409.5

+30.21%

near  

니어프로토콜

NEAR

10,300

+26.38%

가상자산 시세 보러가기

이번 주엔 어떤 일이?

주간 동향

모건스탠리, 비트코인 ETF 판매 권유 시작?

한국 시간 19일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격했다는 소문이 퍼져 $61k까지 급락한 비트코인은 이란이 ‘미사일 공격 받지 않았다’라고 발표한 후 다시 $64k를 회복했고, 이후 명확한 방향성 없이 $63~66k 사이에서 머물고 있습니다. 네 번째 반감기가 20일 오전에 지났는데도 가격에는 큰 영향이 없었습니다. 이더리움 가격도 비트코인이 만든 추세를 크게 이탈하지 않고 있습니다.   


주간동향 이미지

출처: Coinmarketcap


홍콩에서 승인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ETF가 30일에 첫 거래가 시작된다는 소식이 나왔지만 시장은 크게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관련 ‘좋은 소식’은 아직 나오지 않았고, 중동 위기는 아직 해소되지 않았으며, 홍콩 ETF의 거래가 시작되어도 중국 본토 자금 참여가 현재로서는 불투명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런데 현지 시간 24일 미국에서 흥미로운 뉴스가 보도되었습니다. AdvisorHub와 코인데스크는 모건스탠리의 익명 임원 2명의 말을 인용해 모건스탠리가 자사 브로커 15,000명에게 비트코인 ETF의 권유를 허가할 수 있다고(allowing its roughly 15,000 brokers to solicit customer purchases) 보도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지난 1월 중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상장되자 자사 고객들에게 거래를 허용했지만, 고객이 직접 요청할 때에 한정해서(unsolicited) 거래를 진행했습니다. 이는 BoA 메릴린치나 웰스파고 등 다른 은행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모건스탠리는 이러한 기조를 수정하여 고객들에게 비트코인 ETF를 직접 권유하는 방식으로 판매 전략을 수정하겠다는 것입니다. 코인데스크는 이를 두고 “상당량의 자금 유입을 불러올 수 있다(The move could push substantial inflow into the ETFs)”라고 평가했습니다. 


<미국 은행 순위>

주간동향 이미지

출처: US FFIEC 

* 단위: $1,000


<국내 은행 순위>

주간동향 이미지

출처: 예금보험공사

* 단위: 억원


모건스탠리는 자산 규모 1조 달러를 상회하는 미국 은행 자산규모 순위 6위의 은행 및 종합금융사(wirehouse)입니다. 실감나는 비교를 위해 우리나라 은행 순위와 용어를 차용하자면, 모건스탠리가 비트코인 ETF 판매 권유를 시작한다는 것은 IBK기업은행 WM센터 소속 프라이빗뱅커(PB)들이 고객들에게 비트코인 펀드 판매 권유를 시작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한달 전 뉴스레터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미국의 종합금융사(wirehouse)들과 독립투자자문사(RIA)들은 비트코인 ETF에 대해 3개월 가량 모니터링 기간을 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연히도 3개월 모니터링 기간이 끝나는 시점은 네 번째 비트코인 반감기, 그리고 홍콩의 ETF 승인 및 거래가 시작되는 2024년 4월입니다.


이 시점에 모건스탠리가 비트코인 ETF 판매전략의 능동적 전환을 검토한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큽니다. 3월 이후 비트코인 가격 상승세가 주춤하자 “ETF 승인 호재가 끝났나”라는 의문이 시장에서 나오고 있지만, 1월 ETF 승인이 비트코인에 관심 있던 미국 및 글로벌 자금이 전부 진입을 완료한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더 많은 금융사가 진입하고, 판매 형태나 전략을 수정하며 비트코인 ETF의 접근성은 점진적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옳습니다. 단, 최근 비트코인 가격 트렌드는 미국 기술주와 유사하게 움직이고 있어, 금리와 지정학적 요소 등 매크로 요소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코빗 리서치센터 김민승


이번 주 핫한 가상자산 소식을 알아볼까요?

가상자산 뉴스

코빗 소식 / 인터뷰(코빗 리서치센터장)

코빗 리서치센터장 "中 제재 없다면 홍콩 비트코인ETF로 자금 몰릴 것"

2024-04-24 / 뉴스1

코빗 소식 / 인터뷰(코빗 리서치센터장)

[인터뷰] “11월 미 대선, 가상자산 시장 판도 바꿀 변수”

2024-04-24 / 부산일보

코빗 소식 / 강연(코빗 CEO)

[매경 CEO 특강] 비트코인은 디지털 金 … 가치 더 커질 것

2024-04-22 / 매일경제

국내 소식 / 타사 뉴스(두나무)

두나무, ESG 캠페인으로 1년간 탄소 1.8만㎏ 줄였다

2024-04-24 / 머니투데이

국내 소식 / 타사 뉴스(코인원)

코인원, '거래량 순위 비교' 랭킹보드 서비스

2024-04-22 / 아시아경제

해외 소식 / 해외 가상자산거래소

[단독] 크립토닷컴, 금융당국 압박에 국내 진출 무기한 연기

2024-04-23 / 세계일보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코빗 리서치

코빗 리서치 이미지

이더리움, EIP-4844로 충분할까

EIP-4844의 도입으로 인해 지금까지 이더리움의 ‘콜데이터’에 데이터를 게시하던 L2 네트워크들은 보다 저렴한 데이터 저장 수단인 ‘블롭’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블롭 트랜잭션의 활용은 현재 초기 단계이며, 블롭 트랜잭션의 채택이 늘어나면 블롭 공간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져 수수료가 다시 상승한다. 이번 메사리 리포트에서는 덴쿤 업그레이드 이후 적용된 이더리움의 블롭 도입에 대해 다루며, 덴쿤 업그레이드가 이더리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네트워크를 최적화하고자 하는 개발팀이 앞으로 고민해야 할 부분에 대한 메사리 소속 애널리스트들의 다양한 관점을 공유한다. 커뮤니티가 수수료 인하와 사용자 활동 증가라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면서 이러한 혜택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는 만큼, 이번 메사리 리포트 번역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2024-04-19 / 코빗리서치 90회

코빗 리서치 자세히 보러가기

새로운 컨텐츠가 업로드 되었어요.

코빗 유튜브

코빗 유투브

비트코인 반감기가 보내는 메시지

2024-04-19 / 코빗 인사이트

코빗 유튜브 구독하러 가기

이번주 코빗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코빗 뉴스레터 의견

이번주 코빗 뉴스레터에 대해 어땠는지 아래 버튼을 눌러 의견을 남겨주세요!

뉴스레터 의견 남기러 가기
코빗의 다양한 이벤트를 만나보세요. KORBIT EVENT!
코빗에 합류할 인재를 기다리고 있어요. WE ARE HIRING!
Korbit
매주 새로운 정보와 소식으로 찾아오는
코빗 뉴스레터를 기대해 주세요!

코빗이 발행하는 리서치/뉴스레터를 통해 제공되는
자료는 무단복제하거나 영리 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으며
당사 허가 없이 내용을 임의로 수정하는 경우에는
발행물 인용이 불가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Korbit